전국철도노조와 서울메트로(옛 서울지하철공사) 노조가 '철도 상업화 중단' 등 요구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오는 1일 파업을 강행할 예정인 가운데 일부 언론이 사태의 본말을 따지지 않은 채 '시민 발목 운운'하는 보도를 되풀이하고 있다.
![]() |
||
▲ 지난 27일 전국철도노조 서울KTX승무지부 조합원들이 서울역 대합실에서 철도공사 정규직화와 위탁계약 철회를 촉구했다. ⓒ이창길 기자 photoeye@mediatoday.co.kr | ||
![]() |
||
▲ 철도공사의 KTX 열차는 평균 18량에 388m에 이르지만 여승무원은 2~3명을 배치하는데 그치고 있다. 서울지하철 역시 마찬가지이지만 이들 승무원에 대한 처우개선과 인력충원, 제대로된 안전교육없이 ‘안전사고’를 말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이창길 기자 photoeye@mediatoday.co.kr | ||
또한 헤럴드경제가 문제삼은 2003년 대구지하철 참사는 지나친 구조조정이 화를 키웠다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참사 원인 중 하나는 바로 기관사 1명이 운행의 모든 책임을 지는 '1인 승무제' 때문이었다. 당시 불이 났던 1079호 기관사 최모씨는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화재사실을 사령실에 먼저 알리지 않은 이유에 대해 "불을 끄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승무원이 2명이었다면 한 명은 보고를 하고, 남은 한 명이 불을 끌 수 있었던 상황이다. 사망자가 많았던 1080호 기관사 역시 홀로 탑승해, 문이 열리지 않은 뒤쪽 객차 상황까지는 미처 살피지 못했다.
헤럴드경제 지적대로 사고철 오명부터 벗으려면 서울지하철은 인력을 충원하고 대구·부산·인천지하철, 수도권 국철 분당선과 도시철도공사 5∼8호선은 원래대로 '2인 승무제'로 돌아가야 한다는 게 상식적인 주장이다.
한편 대검찰청 공안부는 철도노조와 서울메트로 노조 파업에 대해 엄정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가운데 공무원노조 등이 파업을 지지하고 나섰다.
공무원노조는 이날 성명에서 "14만 전 조합원은 철도노조의 정당한 파업을 지지하며 어떤 형태의
대체근무 지시도 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철도노조의 요구는 모든 시민의 요구와 일치한다"며 "시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철도사고는 무리한
구조조정으로 현장인력이 축소되고 열악한 노동조건으로 안전운행을 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 |
||
▲ 헤럴드경제 28일자 기자수첩. | ||
앞서 철도노조 김영훈 중앙쟁의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담화문에서 "정부도 인정한 철도민영화 정책에 반대하다 해고된 67명의 동료들은 반드시 현장으로 돌아와야 한다"며 "투쟁중인 KTX 여승무원의 고용안정과 정규직 전환 등을 위해 총파업을 위해 철저히 준비해 달라"고 조합원들을 독려했다. 철도노조는 27일 13차 본교섭에서 "방만한 자회사 확대를 청산하고 직접고용을 통한 비용절감과 투명경영의 모범을 보여달라"고 주장했지만, 철도공사가 "공감은 하지만 합의는 어렵다"고 밝혀 단체교섭은 타결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