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고발 사주’ 가라앉고 이재명 ‘대장동’ 떴다
윤석열 ‘고발 사주’ 가라앉고 이재명 ‘대장동’ 떴다
9월에만 굵직한 정치권 이슈 연이어 두 건 터져
윤석열 고발 사주 의혹은 어느새 수면 아래로
13일 이후 대장동 기사 급등 고발 사주 보도 급감

정치권에서 9월에만 굵직한 이슈 두 건이 터졌다. ‘고발 사주’ 의혹과 ‘대장동 개발’ 논란이다. 두 의혹 모두 각각 여야 지지율 1위 후보를 겨냥한 만큼 언론 이목도 집중됐다.

두 가지 이슈가 연이어 터지면서 정치권에서는 “이슈가 이슈를 덮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 9월 일일 보도량(1일~22일)을 분석한 결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 고발 사주 의혹은 사라졌고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 대장동 개발 논란만 남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난 14일 국회 소통관에서 성남의 대장동 개발과 관련한 특혜 의혹에 관한 기자회견을 마치고 기자회견장을 나서고 있다. ⓒ민중의소리
▲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난 14일 국회 소통관에서 성남의 대장동 개발과 관련한 특혜 의혹에 관한 기자회견을 마치고 기자회견장을 나서고 있다. ⓒ민중의소리

9월에만 굵직한 정치권 이슈 연이어 두 건 터져

윤 후보 고발 사주 의혹은 지난 2일 인터넷 매체 ‘뉴스버스’를 통해 알려졌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빅데이터 서비스 ‘빅카인즈’에 따르면, 주요 언론사 54곳은 윤 후보 고발 사주 의혹과 관련해 지난 1일부터 22일까지 총 4522건 보도했다. 이 지사 대장동 개발 논란은 같은 기간 총 1231건 보도됐다.

일자별로 살펴보면 윤 후보 고발 사주 의혹은 △1일 0건 △2일 125건 △3일 255건 △4일 76건 △5일 94건 △6일 334건 △7일 311건 △8일 448건 △9일 349건 △10일 448건 △11일 182건 △12일 272건 △13일 433건 △14일 336건 △15일 289건 △16일 262건 △17일 144건 △18일 38건 △19일 27건 △20일 26건 △21일 21건 △22일 52건으로 집계됐다.

이 지사 대장동 개발 논란은 △1일 0건 △2일 0건 △3일 0건 △4일 0건 △5일 0건 △6일 0건 △7일 10건 △8일 0건 △9일 0건 △10일 0건 △11일 0건 △12일 5건 △13일 23건 △14일 70건 △15일 75건 △16일 164건 △17일 174건 △18일 104건 △19일 147건 △20일 120건 △21일 133건 △22일 206건으로 나타났다.

▲ 지난 한 달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 ‘고발 사주’ 의혹 관련 일일 보도량. 사진=한국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
▲ 지난 한 달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 ‘고발 사주’ 의혹 관련 일일 보도량. 사진=한국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
▲ 지난 한 달 이재명 경기도지사 대장동 개발 논란 관련 일일 보도량. 사진=한국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
▲ 지난 한 달 이재명 경기도지사 대장동 개발 논란 관련 일일 보도량. 사진=한국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

13일을 기준으로 윤 후보 고발 사주 의혹 보도는 급감하고 이 지사 대장동 개발 논란은 급등하는 추세를 보인다. 전날인 12일은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참여했던 장기표 국민의힘 김해을 당협위원장이 이 지사 대장동 개발 논란에 대한 기자회견을 한 날이다. 그 이후 관련 기사가 쏟아지기 시작한 것이다.

장 위원장은 이 지사 아들이 화천대유자산관리 관계사 천화동인 1호에 근무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보도를 했던 조선일보는 정정보도에 나서기도 했다. 장 위원장이 15일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1차 컷오프를 앞두고 무리수를 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 

윤석열 ‘고발 사주’ 의혹은 어느새 수면 아래로

그럼에도 야당을 중심으로 이 지사를 향한 공세가 이어졌다. 화천대유 특혜 의혹과 함께 이 지사가 부당 이득을 챙겼다는 의혹 등을 제기했다.

이에 언론 검증도 본격화됐다. 다만 윤 후보 고발 사주 의혹에 대한 비판 기사는 두 자릿수까지 줄어드는 양상이 나타났다. 윤 후보 고발 사주 의혹에 집중했던 언론은 이 지사를 향한 검증으로 시선을 돌렸다.

▲ 지난 16일 국민의힘 '이재명 경기도지사 대장동 게이트 진상조사 TF’ 팀 의원들이 대장동 현장을 찾아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왼쪽부터) 김형동, 이헌승, 박수영, 송석준, 김은혜 의원. ⓒ민중의소리
▲ 지난 16일 국민의힘 ‘이재명 경기도지사 대장동 게이트 진상조사 TF’ 팀 의원들이 대장동 현장을 찾아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왼쪽부터) 김형동, 이헌승, 박수영, 송석준, 김은혜 의원. ⓒ민중의소리

이 지사와 당내 경선을 벌이고 있는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도 공세에 합류했다. 이에 의혹 제기를 넘어 정치권 내에서 공방을 벌이는 기사가 이어졌다.

이 같은 집안싸움에 불만을 표출하는 목소리가 공개적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주인공은 민주당 대선 경선에 참여해 연일 윤 후보를 비판 중인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다. 추 전 장관은 ‘내부 총질’이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이 전 대표를 비판했다.

추 전 장관은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개혁 정권 연장을 저지하려는 ‘검·언·정 카르텔’은 추석 연휴 직전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 사건’이라고 또 다른 이슈를 건져 올려 ‘검찰 쿠데타 모의 사건’을 다 덮어버렸다”며 “이 전 대표와 캠프는 언론을 빙자해 민주당 경선장에 끌고 와 내부 총질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고 적었다.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6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박시원 2021-09-23 14:03:02
가라 앉은건 다시 뜨게 되있다. 고발사주 검찰 정치개입 이게 보통일이냐 국민을 개돼지로 보지마라

카이엔 2021-09-23 17:04:49
지금 언론 보도 흐름의 본질은 이슈의 경중이 아니다.
언론을 개혁하려는 정부와 여당을 언론이 길들이려 하고 있다는 것이 본질이다.
언론 개혁법을 포기하라는 압박이다.

이현성 2021-09-23 14:52:37
이슈라고 퉁치면 끝나냐?
고발사주는 고발장과 실체가 있는 이슈고, 대장동은 벌써 조사 끝나고 완료된 얘기다.
오히려 대장동 들추면 이재명 띄우고 국힘 연루된 인간들 수사 받겠지.
고발장은 빨리 조사해서 검찰 관련자와 국힘당 연루된 인간들 수사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