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은아 "녹취록에 윤석열 박은건 '카더라'" KBS 사장 "확인하고 보도"

국감서 KBS 불신 사례로 '왜 오보 자꾸 반복하나' 따지자 양승동 사장 "취재하고 확인해서 보도했다" 반박

2021-10-12     조현호 기자

검찰 고발사주 의혹과 관련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복원한 제보자 조성은씨와 김웅 국민의힘 의원의 녹취록에 ‘윤석열’이라는 이름이 나오는지를 두고 KBS 국정감사장에서도 논란이 됐다.

MBC가 지난 6일 저녁뉴스에서 김웅 녹취록 보도에서 유일하게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경선후보의 이름을 보도하자, KBS도 그 다음날인 7일에 ‘윤석열이 시켜서 온 것이 되니’라는 표현이 있다고 보도했다.

KBS는 7일 저녁 ‘뉴스9’ ‘조성은, 김웅과 통화 녹취 공개 청구’에서 최근 포렌식을 통해 복원된 조성은씨의 지난해 4월3일 휴대전화 녹취에서 김 의원은 조씨에게 “우리가 고발장을 보내주겠다”며 “대검찰청에 제출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특히 KBS는 김 의원이 “검찰이 억지로 받은 것처럼 해야 한다”, “제가 대검을 찾아가면 윤석열이 시켜서 온 것이 되니 빠져야 한다” 등의 내용도 담긴 걸로 전해졌다고 보도했다.

이를 두고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은 12일 오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주재 KBS EBS 국정감사에서 양승동 KBS 사장을 상대로 “언론 불신에 KBS도 일조를 하고 있다. 언론의 생명은 뭐냐”고 따졌다. 양승동 사장이 “정확한 사실에 기초해서” 보도하는 것이라고 하자 허 의원은 “뉴스 신뢰도가 중요하다”며 “지난해 검언유착 오보해서 제재받았을 때와 너무나 똑같은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허 의원은 지난 6일 김웅 의원 조성은씨간 녹취록을 보도한 SBS와 MBC의 보도를 나란히 비교했다. SBS는 해당 표현을 “내가 대검을 찾아가면 ‘검찰이 시킨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니’”라고 보도한 반면, MBC는 “내가 대검을 찾아가면 ‘윤석열이 시켜서 온 게 되니까’”라고 보도했다. 허 의원은 “같은 녹취록을 전혀 다르게 보도하고 있다는 말”이라며 “그런데 다음날인 7일 저녁 6시경 CBS 노컷뉴스는 녹취파일에 ‘윤석열’의 언급이 없었다며 전면 부인하는 보도를 했다”고 전했다. 허 의원은 이어 “그럼에도 KBS 9시뉴스는 ‘윤석열’이라는 이름을 박아서 보도했다”며 “KBS는 녹취록을 직접 확인했느냐”고 양승동 사장을 추궁했다.

 

양승동 사장이 “제가 직간접적으로 취재를 했다고 안다. 정황상”이라고 답하자 허 의원은 “그건 취재를 한 거지 직접 들었냐고 묻는 것”이라고 거듭 질의했다. 양 사장이 “취재를 했으니 (뉴스에) 들어갈 텐데”라고 하자 허 의원은 “이날의 KBS 보도를 보면, 아주 흥미로운 말이 있다”며 “‘윤석열이 시키게 된다라는 말이 전해졌다’고 보도했다. 전해졌다는 것은 직접 듣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허 의원은 “확실하지 않으면 승부를 걸지 말라는 말도 있는데, 그냥 검찰로 표기하는 것이 적절할텐데, 왜 KBS는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것이냐”며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함부로 보도했다가 징계를 받았고, 공적책무를 저버렸다는 평가까지 받았으면서도 또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보도했다”고 주장했다. 허 의원은 “방심위 제재는 아무래도 상관없다는 건지 궁금하고, 절차나 시스템 무시해도 될 만큼 두려운 존재가 있는지 따르는 조직이 있는지, KBS는 국민만 바라보고 가야 하는 것 아니냐”고 되물었다. 허 의원은 “이부분 뭘 어떻게 해야 하느냐, 카더라 보도로 오보로 밝혀지면 , KBS 신뢰 다 없어지면 어떻게 하려느냐”고 따져 물었다.

그러나 양 사장은 확인하고 보도했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양 사장은 “취재원들로부터 직간접적으로 듣고 취재를 하고 보도한 것으로 안다”며 “그러나 이제 이것이 좀 단정적 표현을 어느정도까지 쓸 것인지 고민했던 것으로 생각된다”고 답했다.

다음 사장에게 인수인계를 제대로 하라고 하자 양 사장은 “KBS는 뉴스가 당일 보도가 아니라 다음날 (한 보도이니) 좀더 시간을 가지고 확인을 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